양질전환.
나는 디자이너이다. 비주얼적인 작업을 주로 한다. 예를 들면 배너디자인이나 상세페이지 디자인, 이벤트 디자인등을 한다. 프로모션이나 이벤트는 자주 발생하기에 매일 할일이 있고, 양 또한 많은편이다. 오늘 책을 읽다 양질전환에 대해 오랜만에 보게 되었다. 내 인생에 양질전환이 된 사례가 있었나 생각해보니, 일을 할때 나의 실력이 양질전환이 되었던게 생각났다.

사회에 진출해서 일을 시작하면서는 요청을 받아 디자인 한다는게 처음이었고 어색했으며 실력도 부족했다. 열심히 배너를 디자인했지만, 썩 맘에 들지도 않았고 잘하지도 못했다. 여기서 내가 배운 인생의 경험 하나. 다른 분야는 잘 모르겠지만 내가 경험란 디자인분야는 하나를 붙잡고 조각하듯이 질적으로 높이려는 디자인하면 망한다는 사실이다. 경험해보니 한번에 끝내려고 질(퀄리티)을 높이려 시간을 투입하면 시안도 하나밖에 안나오고 결정권자는 당연히 더 나은 여러개의 옵션을 보고싶어하니 한번에 일이 진행 될수가 없다는것. 인생에서 ‘양질전환’은 있어도 ‘질양전환’은 없다는것이다.
사실 그 당시에는 양질 전환은 커녕 시안을 뽑아내기 바빴다. 매일매일 사수의 피드백을 받고, 수정을 하고, 결정권자에게 퇴짜맞고 수정해서 다시 컨펌의 연속이었다. 그렇게 고민해서 제작하고 수정하고를 반복하니 책에서 언급된 양질변환이 일어났다. 어느새 시안들을 다양하게 뽑아내는 시간은 줄어들며, 퀄리티도 점점 나아지게 된것이다. 이때 또 하나의 깨달음을 얻었다. 사실 너무나도 뻔한 말이지만 실제로 체감한 시기였다. ‘많이 시안 만들어본 놈이, 디자인도 잘한다는 것’ 그때 그 고생이 나를 성장시켰고, 실력이 쌓였다는 자신감을 갖게했다.
당시 정말 다양한 경험들로 인해 디자인 분야라면 어디에서든 활약할 자신이 있었다. 양질전환은 임계점과도 맥락이 같다. 나의 실력이 어느정도 뒷받침되는 자신감이 생긴 뒤부터 이직도 겁없이 할 수 있었고, 연봉도 나의 수준에서는 제법 먹고 살만큼 오르게 되었다.
돌아보니 그때의 고생과 꾸준한 고민과 치열함이 양질전환을 불러왔고 이내 인생을 바꾸었다는 생각이 든다. 독서도, 운동도 글쓰기도 양질전환이 일어나게 되는 임계점이 온다면 나의 인생은 더욱 크게 바뀔것같다는 확신이 든다. 더욱 치열한 고민 및 노력과 함께 꾸준함으로 양을 채워나가야겠다.
'습관 1일 1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구에게나 환영받는 법 (4) | 2021.12.07 |
---|---|
삶은 태도가 전부이다 (1) | 2021.12.04 |
잠시 멈춤의 힘 (4) | 2021.12.02 |
한달간 매일 블로그 글쓰기 후기 (6) | 2021.12.01 |
성공적인 투자를 방해하는 3가지 (2) | 2021.11.30 |